← 메인으로 돌아가기
1. PX-VW 변환기란?
PX-VW 변환기는 픽셀(px) 단위를 뷰포트 단위(vw)로,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해주는 웹 도구입니다. 반응형 웹 디자인에서 필수적인 도구로, 다양한 화면 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조정되는 CSS를 작성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.
💡 왜 PX에서 VW로 변환해야 할까요?
픽셀(px)은 고정된 크기이지만, 뷰포트 단위(vw)는 화면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됩니다. 모바일, 태블릿, 데스크탑 등 다양한 기기에서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vw 단위를 사용합니다.
2. 기본 변환 기능 사용법
2.1 PX to VW 변환
픽셀 값을 뷰포트 단위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.
- 브레이크포인트 선택: 변환 기준이 될 화면 너비를 선택합니다 (320px, 360px, 480px, 720px, 1024px, 1280px, 1440px, 1600px, 1920px)
- PX 값 입력: 변환하고 싶은 픽셀 값을 입력합니다
- 소수점 설정: 결과값의 소수점 자릿수를 설정합니다 (0~5자리)
- 단위 포함 옵션: 결과에 'vw' 단위를 포함할지 선택합니다
- Convert 버튼 클릭: 변환을 실행합니다
예시: 720px 기준에서 100px를 vw로 변환
입력: 100px
결과: 13.89vw (100 ÷ 720 × 100)
2.2 VW to PX 변환
뷰포트 단위를 픽셀 값으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.
- 브레이크포인트 선택: 변환 기준이 될 화면 너비를 선택합니다
- VW 값 입력: 변환하고 싶은 vw 값을 입력합니다
- 소수점 없음 옵션: 결과를 정수로 반올림할지 선택합니다
- 단위 포함 옵션: 결과에 'px' 단위를 포함할지 선택합니다
- Convert 버튼 클릭: 변환을 실행합니다
예시: 720px 기준에서 13.89vw를 px로 변환
입력: 13.89vw
결과: 100px (13.89 × 720 ÷ 100)
3. CSS 자동 변환 기능
3.1 CSS PX to VW 변환
CSS 코드 전체에서 px 값을 vw로 자동 변환합니다.
- 브레이크포인트 설정: 변환 기준 화면 너비를 설정합니다
- 소수점 설정: 변환 결과의 소수점 자릿수를 설정합니다
- 속성 삭제 옵션: 숫자 단위가 없는 CSS 속성을 삭제할지 선택합니다
- CSS 코드 입력: 변환할 CSS 코드를 왼쪽 텍스트 영역에 입력합니다
- Convert 버튼 클릭: 변환을 실행합니다
- 결과 복사: 변환된 CSS를 복사하여 사용합니다
입력 CSS:
.container {
width: 1000px;
padding: 20px;
margin: 10px;
}
변환 결과 (720px 기준):
.container {
width: 138.89vw;
padding: 2.78vw;
margin: 1.39vw;
}
3.2 CSS VW to PX 변환
CSS 코드 전체에서 vw 값을 px로 자동 변환합니다.
- 브레이크포인트 설정: 변환 기준 화면 너비를 설정합니다
- 속성 삭제 옵션: 숫자 단위가 없는 CSS 속성을 삭제할지 선택합니다
- 소수점 없음 옵션: 결과를 정수로 반올림할지 선택합니다
- CSS 코드 입력: 변환할 CSS 코드를 왼쪽 텍스트 영역에 입력합니다
- Convert 버튼 클릭: 변환을 실행합니다
4. 브레이크포인트 선택 가이드
4.1 모바일 디바이스
- 320px: 작은 모바일 화면 (iPhone SE 등)
- 360px: 일반적인 모바일 화면 (Android 기기)
- 480px: 큰 모바일 화면 (iPhone Plus 등)
4.2 태블릿 디바이스
- 720px: 작은 태블릿 화면
- 1024px: 일반적인 태블릿 화면 (iPad 등)
4.3 데스크탑 디바이스
- 1280px: 작은 데스크탑 화면
- 1440px: 일반적인 데스크탑 화면
- 1600px: 큰 데스크탑 화면
- 1920px: 풀 HD 화면
🎯 브레이크포인트 선택 팁
디자인 시안의 기준이 되는 화면 크기를 브레이크포인트로 선택하세요. 예를 들어, 1440px 기준으로 디자인했다면 1440px을 브레이크포인트로 설정하면 됩니다.
5. 실전 활용 예시
5.1 반응형 헤더 만들기
/* 1440px 기준 디자인 */
.header {
height: 80px;
padding: 0 40px;
font-size: 18px;
}
/* PX-VW 변환기로 변환 */
.header {
height: 5.56vw;
padding: 0 2.78vw;
font-size: 1.25vw;
}
5.2 반응형 카드 컴포넌트
/* 1024px 기준 디자인 */
.card {
width: 300px;
padding: 24px;
border-radius: 8px;
margin: 16px;
}
/* PX-VW 변환기로 변환 */
.card {
width: 29.3vw;
padding: 2.34vw;
border-radius: 0.78vw;
margin: 1.56vw;
}
6. 모바일 사용법
모바일에서는 화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전환 버튼을 제공합니다.
- 전환 버튼: 우측 하단의 둥근 버튼을 클릭하여 PX to VW와 VW to PX 모드를 전환합니다
- 터치 최적화: 모든 버튼과 입력 필드가 터치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
- 반응형 레이아웃: 화면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레이아웃이 조정됩니다
7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: vw 단위는 언제 사용해야 하나요?
A: 화면 크기에 따라 비례적으로 조정되어야 하는 요소에 사용합니다. 예: 컨테이너 너비, 패딩, 마진, 폰트 크기 등
Q: px 단위는 언제 사용해야 하나요?
A: 고정된 크기가 필요한 요소에 사용합니다. 예: 보더, 그림자, 최소/최대 크기 등
Q: 브레이크포인트는 어떻게 선택하나요?
A: 디자인 시안의 기준이 되는 화면 크기를 선택하세요. 보통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화면 크기를 기준으로 합니다.
Q: 변환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때는?
A: 브레이크포인트 설정을 확인하고, 소수점 자릿수를 조정해보세요. 또한 원본 px 값이 올바른지 확인하세요.
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시면 메인 페이지로 돌아가서 실시간으로 변환을 테스트해보세요!